샌드박스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샌드박스 네트워크는 2014년 11월 나희선과 이필성이 설립한 멀티 채널 네트워크 전문 기업이다. 2019년 유병재를 영입하며 연예인 매니지먼트 사업을 확장했으며, 2020년에는 소속 크리에이터들의 뒷광고 논란이 발생했다. 도티, 총몇명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들이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약 24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멀티 채널 네트워크 - VShojo
VShojo는 2020년에 설립되어 트위치에서 인기를 얻은 버츄얼 유튜버 회사로, 일본 시장 진출과 멤버 변동을 거치며 VShojo NOVA 그룹을 공개하는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2014년 설립된 기업 - 필굿뮤직
2013년 타이거 JK, 윤미래, 비지가 MFBTY 소속사로 설립한 필굿뮤직은 힙합 레이블로, 다양한 아티스트 영입을 통해 힙합 및 R&B 씬에서 입지를 다졌으며 현재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반 제작 및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2014년 설립된 기업 - 하나카드
하나카드는 2014년 외환카드와 하나SK카드의 합병으로 출범한 카드 회사로, 아메리칸 엑스프레스 브랜드의 체크카드를 유일하게 발행하며, 하나머니 포인트를 활용한 트래블로그를 통해 외화 결제 시장에도 진출했다.
샌드박스 네트워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주식회사 샌드박스네트워크 |
영문 명칭 | Sandbox Network |
약칭 | 샌드박스 |
형태 | 주식회사 |
국가 | 대한민국 |
설립일 | 2015년 6월 15일 |
창립자 | 나희선, 이필성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7 센트럴파크타워 28~30층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
산업 | 디지털 엔터테인먼트(뉴미디어 기반의 IP 매니지먼트 및 콘텐츠 제작) |
서비스 | MCN (멀티 채널 네트워크) |
대표자 | 이필성, 차병곤 |
주요 인물 | 나희선(CCO), 조재욱(CSO), 한장겸(CTO) |
임직원 수 | 242명 |
웹사이트 | 샌드박스네트워크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나희선과 이필성은 2014년 11월 멀티 채널 네트워크 전문 기업인 샌드박스 네트워크를 창립했다. 2015년 6월 나희선은 최고콘텐츠책임자, 이필성은 CEO로 합류했다.[1] 2019년 5월 YG엔터테인먼트에서 나온 유병재를 영입하여, 샌드박스 소속 첫 번째 연예인이 되었다.[2] 같은 해 5월 31일, 도티 크루 소속이었던 잠뜰, 각별, 수현, 라더, 공룡이 샌드박스 네트워크를 탈퇴하고 DIA TV로 이적하였다.[3]
2. 1. 설립 초기 (2014년 ~ 2015년)
2014년 11월, 나희선은 친구 이필성과 함께 멀티 채널 네트워크 전문 기업 샌드박스 네트워크를 공동 창립했다.[1] 2015년 6월, 나희선은 샌드박스 최고콘텐츠책임자(CCO)가 되었고, 이필성은 최고경영자(CEO)로 합류했다.[1]2. 2. 사업 확장 (2019년 ~ 현재)
2019년 5월, YG엔터테인먼트를 나온 유병재를 영입하였으며, 유병재는 샌드박스 소속이 된 첫 번째 연예인이 되었다.[2]2. 3. 소속 크리에이터 이탈
2019년 5월 31일, 도티와 같은 크루 소속이던 잠뜰, 각별, 수현, 라더, 공룡이 샌드박스 네트워크를 탈퇴하고 DIA TV로 이적하였다.[3]3. 사건·사고
유튜브 뒷광고 논란으로 샌드박스 네트워크의 광고 윤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3. 1. [[2020년 유튜버 뒷광고 내부고발 논란|유튜브 뒷광고 논란]]
2020년, 샌드박스 네트워크 소속 일부 크리에이터들이 뒷광고 논란에 휩싸였다. 이는 샌드박스 네트워크의 광고 윤리 문제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이에 대해 투명한 정보 공개와 소비자 기만 행위 근절을 촉구했다.4. 소속 인물
샌드박스 네트워크에는 300명 가까이 되는 크리에이터와 연예인들이 소속되어 있다.
이름 | 활동 영역 | 콘텐츠 | 구독자 |
---|---|---|---|
도티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일상 | 236만 명 |
총몇명 | 유튜브 | 만화 | 225만 명 |
김블루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 179만 명 |
나도 | 유튜브 | 먹방 | 266만 명 |
김재원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일상 | 3.4만 명 |
유라야 놀자 | 유튜브 | 어린이 | 205만 명 |
루퐁이네 | 유튜브 | 일상, 강아지 | 148만 명 |
카피추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 37.2만 명 |
주호민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 32만 명 |
레바 | 유튜브, 치지직 | 그림 | 66.1만 명 |
겜브링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 111만 명 |
기리TV | 유튜브 | 게임 | 100만 명 |
파뿌리 | 유튜브, 틱톡 | 일상, 게임 | 123만 명 |
피큐큐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 18.7만 명 |
매드라이프 | 유튜브 | 게임 | 36.5만 명 |
급식왕 | 유튜브 | 상황극, 게임 | 136만 명 |
제이제이튜브 | 유튜브 | 어린이, 일상 | 304만 명 |
감스트 | 유튜브 | 스포츠, 게임 | 238만명 |
일단 은혁이(은혁(슈퍼주니어)) | 유튜브 | 일상 | 15.4만 명 |
고누리 | 유튜브 | 만화, 게임 | 131만명 |
소맥거핀 | 유튜브 | 만화 | 612만명 |
쉐어 | 유튜브 | 게임 | 51.4만명 |
백앤아 | 유튜브 | 게임 | 60만명 |
민쩌미 | 유튜브 | 일상 | 24.9만명 |
진자림 | 유튜브, 치지직 | 여러 분야 | 62만명 |
원정상 | 유튜브, 치지직 | 여러 분야 | 50.8만명 |
새옴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 13.9만명 |
블루위키 | 유튜브 | 게임 | 48만명 |
빨간내복야코 | 유튜브 | 음악 | 94.1만명 |
슈뻘맨 | 유튜브 | 여러가지 | 70.6만명 |
4. 1. 주요 크리에이터
이름 | 활동 영역 | 콘텐츠 | 구독자 |
---|---|---|---|
도티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일상 | 236만 명 |
총몇명 | 유튜브 | 만화 | 225만 명 |
김블루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 179만 명 |
나도 | 유튜브 | 먹방 | 266만 명 |
김재원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일상 | 3.4만 명 |
유라야 놀자 | 유튜브 | 어린이 | 205만 명 |
루퐁이네 | 유튜브 | 일상, 강아지 | 148만 명 |
카피추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 37.2만 명 |
주호민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 32만 명 |
레바 | 유튜브, 치지직 | 그림 | 66.1만 명 |
겜브링 | 유튜브, TV 방송 | 게임 | 111만 명 |
기리TV | 유튜브 | 게임 | 100만 명 |
파뿌리 | 유튜브, 틱톡 | 일상, 게임 | 123만 명 |
피큐큐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 18.7만 명 |
매드라이프 | 유튜브 | 게임 | 36.5만 명 |
급식왕 | 유튜브 | 상황극, 게임 | 136만 명 |
제이제이튜브 | 유튜브 | 어린이, 일상 | 304만 명 |
감스트 | 유튜브 | 스포츠, 게임 | 238만명 |
일단 은혁이(은혁(슈퍼주니어)) | 유튜브 | 일상 | 15.4만 명 |
고누리 | 유튜브 | 만화, 게임 | 131만명 |
소맥거핀 | 유튜브 | 만화 | 612만명 |
쉐어 | 유튜브 | 게임 | 51.4만명 |
백앤아 | 유튜브 | 게임 | 60만명 |
민쩌미 | 유튜브 | 일상 | 24.9만명 |
진자림 | 유튜브, 치지직 | 여러 분야 | 62만명 |
원정상 | 유튜브, 치지직 | 여러 분야 | 50.8만명 |
새옴 | 유튜브, 치지직 | 게임 | 13.9만명 |
블루위키 | 유튜브 | 게임 | 48만명 |
빨간내복야코 | 유튜브 | 음악 | 94.1만명 |
슈뻘맨 | 유튜브 | 여러가지 | 70.6만명 |
4. 2. 직원
샌드박스 네트워크에는 약 24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1]참조
[1]
웹인용
크리에이터가 직접 창업한 MCN, 샌드박스네트워크
http://www.bloter.ne[...]
2019-08-22
[2]
뉴스
YG 떠난 유병재, 스타트업 샌드박스네트워크 行
http://news.chosun.c[...]
[3]
문서
공룡은 현재 무소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